페이지 정보

알라딘설명 × 48.rfp268.top × 최신 인터넷게임
【28.rea731.top】
중국을 텃밭으로 삼았던 애플이 점유율 축소와 함께 서서히 중국 사업 규모를 줄이는 흐름이 감지된다. 미중 갈등이 지속되는 가운데 수익 여건이 나빠질 거란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반면 테슬라는 중국 사업 규모를 더 키운다. 대표적 미국 제조업체 간 중국 전략이 엇갈린다.
일반학자금 대출거절━
점유율 하락 애플, 중국서 질서있는 후퇴?
━
26일 글로벌 리서치기업 카날리스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애플 아이폰의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2023년 19%에서 15%로 4%포인트 떨어졌다. 아이폰의 전세계 스마 외환은행 대출 트폰 시장 점유율이 지난해 4분기 23%였음을 감안하면 세계 최대 시장 중국에서는 이전과 같은 아이폰 독주가 재현되기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중국 현지 브랜드들과 경쟁에 물러서지 않겠다는 게 애플의 공식 입장지만, 실제 행보는 공식 입장과 사뭇 다르다. 물론 중국시장을 포기할 수는 없겠지만 장기적으로 '질서있는 후퇴 연차유급휴가 '를 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세계 최대 아이폰 생산기지이며 '아이폰시티'라고 불리는 중국 허난성 정저우의 애플(폭스콘) 생산 인력이 계속해서 줄어드는 게 대표적 사례다.
시나브로 중국을 떠난다는 우려가 확산하자 애플은 지난해 폭스콘을 통한 정저우 10억위안(약 1950억원) 투자 계획을 내놨다. 이것도 실상은 전기차와 디지털 헬 육수 스케어, 로봇공학 R&D(연구개발) 목적이다. 중국이 원하는 대규모 일자리와는 궤가 다르다.
2024년 하반기 애플 주가 추이 및 애플 매출 총이익률(GPM) 추이/그래픽=윤선정
그러던 애플은 지난 24일(미국 현 hk저축은행 추가대출 지시간) 향후 미국에 5000억달러(약 714조원)를 투자해 일자리 2만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중국을 포함해 글로벌 전략을 어떻게 세우고 있는지 방향성을 사실상 명확하게 보여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코로나19 이후 계속되는 베트남·인도 이전을 지속하는 한편 미국 본토 회귀까지 시사한다.
지난 2023년 코트라(KOTRA)는 한 때 30만명에 달했던 아이폰시티 생산 인력이 6만~7만명 수준으로 줄었다고 집계했다. 애플은 또 예고했던 대로 아이폰과 아이패드의 인도 생산을 늘려가고 있다. 정저우시 정부와 애플 측은 정확한 숫자를 공개하지 않고 있지만 지난해 연말 기준 애플의 정저우 채용 인력은 10만명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작년 아이폰16 출시 호재에도 허난성의 스마트폰 수출 물량은 전년 대비 8.7% 줄었다. 금액으로는 13.4% 감소다. 폭스콘 채용 플랫폼에 게시된 계약직 생산근로자 시급은 고작 23위안(약 4500원). 지난해 8월 28위안에서 더 떨어졌다. 아예 안 뽑는다는 거다.
━
테슬라 첨단 오토파일럿 중국 출시...새 배터리공장도 가동
━
2024년 초 중국을 방문한 일론머스크 테슬라 창업자가 중국 리창 국무원 총리를 만나 면담하고 있다. (Wang Ye/Xinhua via AP) /AP=뉴시스
중국과 거리두기가 역력한 애플과는 달리 테슬라의 중국 밀착 행보는 주목할 만하다. 지난 25일 중국 언론에 따르면 테슬라는 중국에서 고급 자율주행 기능인 FSD(풀셀프드라이빙) 업그레이드 공지를 발표했다. 오토파일럿 기능을 일괄 적용한다는 건데, 중국 정부는 그간 데이터보안 등을 이유로 FSD 적용을 제한해 왔다.
한 현지 기업 관계자는 "FSD의 중국 시장 진출은 테슬라가 자율주행 기술을 글로벌 시장으로 확대하는 신호탄이 될 수 있으며, 중국과 관계도 양호하다는 뜻"이라며 "비야디(BYD) 자율주행 기술인 '신의 눈'이 나오자 마자 FSD가 허용된 건 중국 정부가 테슬라를 여전히 중요한 전략적 파트너로 여기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테슬라는 또 최근 중국 상하이 기가팩토리에서 대형 모델인 모델Y 생산을 개시했다. 그리고 역시 최근 상하이에 미국 외 지역 중엔 처음으로 메가팩토리를 가동했다. 메가팩토리는 ESS(대용량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를 생산하는 공장이다. 2024년 공장 건설이 최종 결정될 때부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창업자가 대선 결과도 보지 않고 과감하게 베팅했다는 해석이 나왔었다.
━
달라진 애플 수익구조...하드웨어보단 서비스
━
애플 아이폰 생산전문 협력사인 대만 폭스콘의 중국 내 한 공장 내 조형물 사이로 한 근로자가 머리를 내밀고 있는 모습이 이채롭다./사진=머니투데이DB
애플 입장에서 중국은 미국과 EU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시장이지만 애플의 수익구조를 뜯어보면 중국의 중요도는 실상 눈에 보이는 것 이상으로 낮아지고 있다. 애플은 최근 작년 4분기(2024년 10~12월) 실적을 발표했는데 매출이 1243억달러(약 180조원)로 전년 동기 대비 4% 늘었다. 반면 중국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 줄었다. 한 때 20%를 상회했던 중국 매출 비중은 14.9%로 떨어졌다.
애플의 매출구조는 크게 제품판매(아이폰 등 판매 매출)와 서비스(앱스토어, 아이클라우드 이용료) 등 두 부문으로 구분된다. 4분기 실적을 이렇게 나눠보면 제품매출은 78.7%인 979억달러로 1.6% 늘었고, 서비스 매출은 21.3%인 263억달러로 14% 늘었다. 전체 비중은 단연 제품이 높지만 서비스 부문 성장세가 훨씬 빠르다.
또 애플은 같은 기간 전년 동기 대비 6% 늘어난 428억달러의 영업이익을 냈다. 영업이익 면에선 제품과 서비스 부문을 구분해 발표하지 않지만 서비스 부문의 영업이익률이 제품 부문에 비해 비교가 어려울 정도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업이익률이나 성장세를 종합할 때 사실상 애플의 캐시카우는 서비스 부문이다.
그런 앱스토어나 아이클라우드 서비스가 중국 내에서 원활하게 돈을 벌까? 그렇지 않다. 이 사업 부문들은 중국 내에서 사이버보안법, 데이터보안법, 반간첩법 등으로 제재받는다. 지난 2021년 중국 정부가 수만개의 앱을 앱스토어에서 삭제해버린 일도 애플이 사이버보안법 준수를 위해 중국 정부에 고객데이터 관리권을 넘기면서 벌어졌다.
최근 애플이 알리바바와 AI(인공지능) 분야 협력을 발표하며 화제가 됐다. 역시 뒤집어보면 애플이 아직도 중국에서 AI 서비스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의미다. 그만큼 제재가 많다. 미중관계를 감안하면 획기적으로 제재가 풀릴 가능성도 높지 않다. 결과적으로 애플 입장에서 쑥쑥 성장하고 있는 서비스 부문 수익을 거의 기대할 수 없는 중국은 더이상 매력적인 시장이기 어렵다.
━
차 파는 데 집중하는 테슬라, 비야디 등 중국 경쟁상대가 변수
━
BYD와 테슬라 판매량 추이/그래픽=김지영
반면 테슬라의 수익구조엔 차이가 있다. 같은 분기 기준 주력인 자동차 부문(76.8%)과 에너지·서비스 등 비자동차 부문(23.2%) 매출비율은 대략 8대 2 정도로 애플의 제품-서비스 매출 비율과 비슷하다. 그러나 메인인 자동차 부문 이익률이 압도적으로 높다는 점은 반대다. 삼성증권 분석에 따르면 자동차부문 영업이익률이 가장 높고 에너지 부문 이익률이 그 절반 정도다. 서비스 부문에선 적자가 났다.
하드웨어만 팔면 일단 수익이 보장되는 테슬라로서는 14억 중국시장을 포기하긴 어렵다. 테슬라는 지난해 연간 매출의 약 36%를 중국에서 냈다. 2023년 22.5%에 비해 압도적으로 중국 비중이 높아졌다. 4분기만 놓고 봐도 연간 비중과 비슷한 36% 안팎을 기록했다. 36%는 그간 최대 시장이었던 미국과 비슷한 수준이다. 중국이 이제 대체 불가능한 시장이 됐다는 의미다.
상반된 두 기업의 전략이 어떤 성과로 귀결될지는 두고 볼 일이지만 우선 테슬라를 보는 시선에서 우려가 읽힌다. 대표적 테슬라 옹호론자였던 미국 거버가와사키의 로스 거버 CEO는 최근 "테슬라 주가가 반토막날 수도 있다"며 "중국 최대 전기차 업체인 비야디(BYD)의 성장세는 테슬라에 큰 위협이 되고 있으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테슬라보다 BYD를 선호한다"고 진단했다.
베이징(중국)=우경희 특파원 cheerup@mt.co.kr
럭키세븐 ┫ 52.rea731.top ┫ 알라딘게임공략법
럭키세븐 ┫ 33.rea731.top ┫ 알라딘게임공략법
럭키세븐 ┫ 62.rea731.top ┫ 알라딘게임공략법
럭키세븐 ┫ 11.rea731.top ┫ 알라딘게임공략법
바로가기 go !! 바로가기 go !!
릴게임 사이트 도메인 황금성어플 사설배팅 백경다운로드 릴게임손오공하는법 무료슬롯머신 황금성3 황금성3 알라딘오락실 프라그마틱 홈페이지 한국파칭코 황금성 다운로드 바다이야기 상어 릴게임 손오공 프라그마틱 무료스핀 황금성게임공략방법 빠칭코게임다운로드 카카오야마토 오션슬롯 먹튀 바다이야기예시종료 바다이야기 고래 출현 야마토다운 카지노릴게임 온라인 슬롯머신 인터넷신천지 모바일게임 종합릴게임 로또달팽이 황금성온라인 알라딘릴게임다운로드 오리 지날야마토 프라그마틱 순위 바다신게임 빠친코게임 슬롯무료체험 무료슬롯게임 릴게임 신천지사이트 바다이야기 고래 출현 야마토 빠칭코 강원 랜드 슬롯 머신 하는법 릴게임손오공게임 바다이야기환전 슬롯머신 하는법 야마토5 릴게임골드몽릴게임 릴게임무료 슬롯 머신 이기는 방법 바다이야기예시 바다이야기게임다운로드 슬롯머신 이기는 방법 바다이야기게임 온라인야마토주소 슬롯머신무료 인터넷바다이야기게임 바다이야기게임2018 Pg 소프트 무료 체험 신규릴게임 릴게임추천 먹튀피해복구 10원야마토 야마토게임2 프라그마틱 무료 모바일 릴게임 바다이야기주소 100원바다이야기 슬롯나라무료 프라그마틱 무료체험 황금성게임랜드 무료 메가 슬롯 머신 알라딘바로가기 온라인게임순위 2018 모바일오션파라다이스7 슬롯게임 실시간 안전 슬롯사이트 릴게임판매 강원랜드 슬롯머신 가격 바다이야기백경 사설경정 알라딘게임예시 릴게임설치 슬롯 머신 html 바다이야기환전가능 인터넷야마토릴게임 백경다운로드 온라인야마토게임 파친코게임다운로드 강원랜드 슬롯머신 확률 공개 온라인오션파라다이스 무료충전 릴 게임 오션파라다이스7게임 인터넷릴게임 슬롯머신 무료게임 바다신게임 잭팟 호게임 알라딘오락실 바다이야기부활 다빈치 바다이야기사이트먹튀 오리 지날야마토연타예시 마이크로 슬롯 무료체험 릴게임 다빈치 야마토게임2 인터넷백경 카지노 슬롯머신 종류 온라인 슬롯 머신 게임 체리마스터 다운로드 슬롯 추천 디시 야마토게임다운 릴게임 다빈치 릴게임공략법 체리마스터 pc용 야마토 창공 pc야마토 릴게임추천사이트 릴게임 공략법 전함야마토 야마토 모바일황금성 릴파라다이스 일본 야마토 게임 실시간파워볼 핸드폰바다이야기 바나나게임 사설경정 [상하이=AP/뉴시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21일(현지시각) 중국 상하이에서 새로운 플래그십 애플스토어 '징안점' 개장식에 참석해 인사하고 있다. 애플은 아시아 최대 규모의 '징안점'에 1160만 달러(약 155억4400만 원)를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2024.03.22.중국을 텃밭으로 삼았던 애플이 점유율 축소와 함께 서서히 중국 사업 규모를 줄이는 흐름이 감지된다. 미중 갈등이 지속되는 가운데 수익 여건이 나빠질 거란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반면 테슬라는 중국 사업 규모를 더 키운다. 대표적 미국 제조업체 간 중국 전략이 엇갈린다.
일반학자금 대출거절━
점유율 하락 애플, 중국서 질서있는 후퇴?
━
26일 글로벌 리서치기업 카날리스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애플 아이폰의 중국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2023년 19%에서 15%로 4%포인트 떨어졌다. 아이폰의 전세계 스마 외환은행 대출 트폰 시장 점유율이 지난해 4분기 23%였음을 감안하면 세계 최대 시장 중국에서는 이전과 같은 아이폰 독주가 재현되기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중국 현지 브랜드들과 경쟁에 물러서지 않겠다는 게 애플의 공식 입장지만, 실제 행보는 공식 입장과 사뭇 다르다. 물론 중국시장을 포기할 수는 없겠지만 장기적으로 '질서있는 후퇴 연차유급휴가 '를 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세계 최대 아이폰 생산기지이며 '아이폰시티'라고 불리는 중국 허난성 정저우의 애플(폭스콘) 생산 인력이 계속해서 줄어드는 게 대표적 사례다.
시나브로 중국을 떠난다는 우려가 확산하자 애플은 지난해 폭스콘을 통한 정저우 10억위안(약 1950억원) 투자 계획을 내놨다. 이것도 실상은 전기차와 디지털 헬 육수 스케어, 로봇공학 R&D(연구개발) 목적이다. 중국이 원하는 대규모 일자리와는 궤가 다르다.
2024년 하반기 애플 주가 추이 및 애플 매출 총이익률(GPM) 추이/그래픽=윤선정
그러던 애플은 지난 24일(미국 현 hk저축은행 추가대출 지시간) 향후 미국에 5000억달러(약 714조원)를 투자해 일자리 2만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중국을 포함해 글로벌 전략을 어떻게 세우고 있는지 방향성을 사실상 명확하게 보여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코로나19 이후 계속되는 베트남·인도 이전을 지속하는 한편 미국 본토 회귀까지 시사한다.
지난 2023년 코트라(KOTRA)는 한 때 30만명에 달했던 아이폰시티 생산 인력이 6만~7만명 수준으로 줄었다고 집계했다. 애플은 또 예고했던 대로 아이폰과 아이패드의 인도 생산을 늘려가고 있다. 정저우시 정부와 애플 측은 정확한 숫자를 공개하지 않고 있지만 지난해 연말 기준 애플의 정저우 채용 인력은 10만명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작년 아이폰16 출시 호재에도 허난성의 스마트폰 수출 물량은 전년 대비 8.7% 줄었다. 금액으로는 13.4% 감소다. 폭스콘 채용 플랫폼에 게시된 계약직 생산근로자 시급은 고작 23위안(약 4500원). 지난해 8월 28위안에서 더 떨어졌다. 아예 안 뽑는다는 거다.
━
테슬라 첨단 오토파일럿 중국 출시...새 배터리공장도 가동
━
2024년 초 중국을 방문한 일론머스크 테슬라 창업자가 중국 리창 국무원 총리를 만나 면담하고 있다. (Wang Ye/Xinhua via AP) /AP=뉴시스
중국과 거리두기가 역력한 애플과는 달리 테슬라의 중국 밀착 행보는 주목할 만하다. 지난 25일 중국 언론에 따르면 테슬라는 중국에서 고급 자율주행 기능인 FSD(풀셀프드라이빙) 업그레이드 공지를 발표했다. 오토파일럿 기능을 일괄 적용한다는 건데, 중국 정부는 그간 데이터보안 등을 이유로 FSD 적용을 제한해 왔다.
한 현지 기업 관계자는 "FSD의 중국 시장 진출은 테슬라가 자율주행 기술을 글로벌 시장으로 확대하는 신호탄이 될 수 있으며, 중국과 관계도 양호하다는 뜻"이라며 "비야디(BYD) 자율주행 기술인 '신의 눈'이 나오자 마자 FSD가 허용된 건 중국 정부가 테슬라를 여전히 중요한 전략적 파트너로 여기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테슬라는 또 최근 중국 상하이 기가팩토리에서 대형 모델인 모델Y 생산을 개시했다. 그리고 역시 최근 상하이에 미국 외 지역 중엔 처음으로 메가팩토리를 가동했다. 메가팩토리는 ESS(대용량에너지저장장치)용 배터리를 생산하는 공장이다. 2024년 공장 건설이 최종 결정될 때부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창업자가 대선 결과도 보지 않고 과감하게 베팅했다는 해석이 나왔었다.
━
달라진 애플 수익구조...하드웨어보단 서비스
━
애플 아이폰 생산전문 협력사인 대만 폭스콘의 중국 내 한 공장 내 조형물 사이로 한 근로자가 머리를 내밀고 있는 모습이 이채롭다./사진=머니투데이DB
애플 입장에서 중국은 미국과 EU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시장이지만 애플의 수익구조를 뜯어보면 중국의 중요도는 실상 눈에 보이는 것 이상으로 낮아지고 있다. 애플은 최근 작년 4분기(2024년 10~12월) 실적을 발표했는데 매출이 1243억달러(약 180조원)로 전년 동기 대비 4% 늘었다. 반면 중국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 줄었다. 한 때 20%를 상회했던 중국 매출 비중은 14.9%로 떨어졌다.
애플의 매출구조는 크게 제품판매(아이폰 등 판매 매출)와 서비스(앱스토어, 아이클라우드 이용료) 등 두 부문으로 구분된다. 4분기 실적을 이렇게 나눠보면 제품매출은 78.7%인 979억달러로 1.6% 늘었고, 서비스 매출은 21.3%인 263억달러로 14% 늘었다. 전체 비중은 단연 제품이 높지만 서비스 부문 성장세가 훨씬 빠르다.
또 애플은 같은 기간 전년 동기 대비 6% 늘어난 428억달러의 영업이익을 냈다. 영업이익 면에선 제품과 서비스 부문을 구분해 발표하지 않지만 서비스 부문의 영업이익률이 제품 부문에 비해 비교가 어려울 정도로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업이익률이나 성장세를 종합할 때 사실상 애플의 캐시카우는 서비스 부문이다.
그런 앱스토어나 아이클라우드 서비스가 중국 내에서 원활하게 돈을 벌까? 그렇지 않다. 이 사업 부문들은 중국 내에서 사이버보안법, 데이터보안법, 반간첩법 등으로 제재받는다. 지난 2021년 중국 정부가 수만개의 앱을 앱스토어에서 삭제해버린 일도 애플이 사이버보안법 준수를 위해 중국 정부에 고객데이터 관리권을 넘기면서 벌어졌다.
최근 애플이 알리바바와 AI(인공지능) 분야 협력을 발표하며 화제가 됐다. 역시 뒤집어보면 애플이 아직도 중국에서 AI 서비스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의미다. 그만큼 제재가 많다. 미중관계를 감안하면 획기적으로 제재가 풀릴 가능성도 높지 않다. 결과적으로 애플 입장에서 쑥쑥 성장하고 있는 서비스 부문 수익을 거의 기대할 수 없는 중국은 더이상 매력적인 시장이기 어렵다.
━
차 파는 데 집중하는 테슬라, 비야디 등 중국 경쟁상대가 변수
━
BYD와 테슬라 판매량 추이/그래픽=김지영
반면 테슬라의 수익구조엔 차이가 있다. 같은 분기 기준 주력인 자동차 부문(76.8%)과 에너지·서비스 등 비자동차 부문(23.2%) 매출비율은 대략 8대 2 정도로 애플의 제품-서비스 매출 비율과 비슷하다. 그러나 메인인 자동차 부문 이익률이 압도적으로 높다는 점은 반대다. 삼성증권 분석에 따르면 자동차부문 영업이익률이 가장 높고 에너지 부문 이익률이 그 절반 정도다. 서비스 부문에선 적자가 났다.
하드웨어만 팔면 일단 수익이 보장되는 테슬라로서는 14억 중국시장을 포기하긴 어렵다. 테슬라는 지난해 연간 매출의 약 36%를 중국에서 냈다. 2023년 22.5%에 비해 압도적으로 중국 비중이 높아졌다. 4분기만 놓고 봐도 연간 비중과 비슷한 36% 안팎을 기록했다. 36%는 그간 최대 시장이었던 미국과 비슷한 수준이다. 중국이 이제 대체 불가능한 시장이 됐다는 의미다.
상반된 두 기업의 전략이 어떤 성과로 귀결될지는 두고 볼 일이지만 우선 테슬라를 보는 시선에서 우려가 읽힌다. 대표적 테슬라 옹호론자였던 미국 거버가와사키의 로스 거버 CEO는 최근 "테슬라 주가가 반토막날 수도 있다"며 "중국 최대 전기차 업체인 비야디(BYD)의 성장세는 테슬라에 큰 위협이 되고 있으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테슬라보다 BYD를 선호한다"고 진단했다.
베이징(중국)=우경희 특파원 cheerup@mt.co.kr
관련링크
-
http://45.rqc718.top
196회 연결 -
http://45.rcu914.top
196회 연결
- 이전글알라딘예시 ㅭ 71.ram978.top ㅭ 온라인야마토릴게임 25.02.27
- 다음글바다이야기 시즌7 ∩ 79.rnm453.top ∩ 바다이야기앱 25.02.2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